본문 바로가기

Moving Still

히어로즈Heroes Season1 시즌1의 잡학



이망증(移望症, 독일어: Zugunruhe)은
주로 이동하면서 사는 습성이 있는 동물(특히 조류중의 철새)이 제 때 이동하지 못했을 때 보이는 여러가지 특이한 불안증세를 말한다. zug는 이동,움직임 unruhe는 갈망을 뜻한다. 이동충동증후로도 번역된다.
이망증의 증세를 보이는 철새가 감금되면 철새의 이동습성에 대해 여러가지 관찰이 가능하다.
이망증이 생기면 갇힌 철새는 불안증세를 보이며, 해가 지고 나면 수면패턴에도 변화가 보인다.
이망증은 흔히 이동습성이 있는 종에만 있는 것으로 생각되나, 최근 연구결과는 낮은 정도지만 정착동물도 이망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정상경험 peak experience (15화)
....자신에게서 이탈하는 순간, 자신이 아주 작거나 크게 느껴지는데 꼭 들어맞는 퍼즐 조작을 보는 것처럼
얼마동안 자신이 삶, 자연 또는 신과 하나가 된다.(by Abraham Maslow )...
Peak experience is a term used to describe certain transpersonal and ecstatic states, particularly ones tinged with themes of euphoria, harmonization and interconnectedness. Participants characterize these experiences, and the revelations imparted therein, as possessing an ineffably mystical (or overtly religious) quality or essence.

Origins
Many of the nuances the term now connotes were expounded by psychologist Abraham Maslow, in his 1964 work Religions, Values, and Peak Experiences. To some extent the term represents Maslow's attempt to "naturalize" those experiences which have generally been identified as religious experiences and whose origin has, by implication, been thought of as supernatural. Maslow (1970) believed that the origin, core and essence of every known "high religion" was "the private, lonely, personal illumination, revelation, or ecstasy of some acutely sensitive prophet or seer" (p. 19).


the Nature of Peak Experience
Peak experiences are described by Maslow as especially joyous and exciting moments in life, involving sudden feelings of intense happiness and well-being, wonder and awe, and possibly also involving an awareness of transcendental unity or knowledge of higher truth (as though perceiving the world from an altered, and often vastly profound and awe-inspiring perspective). They usually come on suddenly and are often inspired by deep meditation, intense feelings of love, exposure to great art or music, or the overwhelming beauty of nature. Peak experiences can also be triggered pharmacologically. A 2006 double-blind clinical study by Griffiths and colleagues showed that psilocybin (the principal psychoactive component of various psychedelic mushroom species) induced intense peak experiences in a majority of study volunteers. In a 14-month follow-up study, a majority of volunteers reported that the psilocybin-induced experience had been overwhelmingly positive and was among the five most personally meaningful spiritual experiences of their lives.

Maslow describes how the peak experience tends to be uplifting and ego-transcending; it releases creative energies; it affirms the meaning and value of existence; it gives a sense of purpose to the individual; it gives a feeling of integration; it leaves a permanent mark on the individual, evidently changing them for the better. Peak experiences can be therapeutic in that they tend to increase the individual's free will, self-determination, creativity, and empathy. The highest peaks include "feelings of limitless horizons opening up to the vision, the feeling of being simultaneously more powerful and also more helpless than one ever was before, the feeling of great ecstasy and wonder and awe, and the loss of placing in time and space" (1970, p. 164). When peak experiences are especially powerful, the sense of self dissolves into an awareness of a greater unity. Maslow's theories appear to be supported by the recent reports from Griffiths and colleagues, in which community observers (such as close family members) reported a variety of positive personality changes in volunteers in the psilocybin arm of the study.

Maslow claimed that all individuals are capable of peak experiences. Virtually everyone, he suggested, has a number of peak experiences in the course of their life, but often such experiences are taken for granted. In so-called "non-peakers", peak experiences are somehow resisted and suppressed. Maslow argued that peak experiences should be studied and cultivated, so that they can be introduced to those who have never had them or who resist them, providing them a route to achieve personal growth, integration, and fulfillment.

Sustained Peak Experience
Maslow defined lengthy, willfully induced peak experiences (plateau experiences) as a characteristic of the self-actualized. He described it as a state of witnessing or cognitive blissfulness, the achievement of which requires a lifetime of long and hard effort, and also self-actualization.



코돈codon
                유전자 부호, 세 핵간 염기로 된 유전암호 단위
                단백질의 아미노산 배열을 규정하는 전령 RNA의 3염기 배열을 말한다. 아미노산의 유전암호라고도 한다. 전 생물을 통해서 공통으로 DNA의 염기배열로 표시할 수도 있다. RNA또는 DNA를 구성하는 네 종류의 염기(뉴클레오티드)에서 만들어지는 염기배열의 총수는 64개로, 그 중의 61개가 아미노산을 코드하고 있다. 나머지 세 개(UAA, UAG, UGA)는 단백질 합성을 정지시킬 부호로 정지코돈이라 불린다. 단백질합성의 개시코돈(AUG)은 메티오닌의 코돈과 공통이지만 개시 tRNA에 의해서 인식된다. 



보통 사람들과 달리, 특별한 능력을 가진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인 히어로즈 시즌1의 전체 줄거리를 요약하자면,
재능을 가진 사람들과 함께 있으면 그 재능을 흡수할 수 있는 피터 페트렐리 (마일로 벤티미글리아 분)와
시공간을 자유롭게 이동하며, 시간을 멈출 수 있는 히로 나카무라 (마시 오카 분) ,
그리고, 재능을 가진 사람들의 재능을 훔쳐 자신의 재능으로 만드는 악인 사일러 (잭커리 퀸토 분) ,
어떠한 상처나 부상으로부터도 자연치유력을 가진 클레어 베넷 (헤이든 패넷티어 분) 의 네 사람이
뉴욕의 절반을 날려 버릴 어떤 폭발의 위험으로부터 무고한 사람들의 희생을 막고 정상적인 미래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내용이다.

유일 악인인 사일러는 많은 재능을 다 흡수하지만 클레어의 재생능력을 흡수하지 못해 죽음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고
시간여행을 할 수 있는 히로는 시간을 옮겨 다니며 폭발 전의 과거에서 잘못된 부분을 바로 잡으려 하고,
피터는 누구일지 모르는 폭발의 주체를 찾아 그것을 저지하기 위해 애를 쓰면서 클레어를 보호하려 하는데
각자는 자신의 능력과 역할에 대해 정확하게 다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치어리더를 구하고 세상을 구원하라'는 사명감에 사로잡힌다.
그 사명감은 히로로부터 비롯되는데 바로 미래를 예견하듯 보여주는 만화책의 삽화를 믿는 것이다. 

마약상태에서 자신이 본 미래를 그려내는 만화가 아이작 멘데즈 (산티아고 카브레라 분) ,
자기내면의 냉혹하고 강한 힘의 소유자인 제시카와 싸우는 다중인격장애자 니키 샌더스 (알리 라터 분) ,
특별한 능력을 가진 사람들을 연구하던 아버지의 죽음 이후 추적에 나선 유전학자 모힌더 수레쉬 (센드힐 라마머씨 분),
딸 클레어에 대한 애정과 다른 능력자들에 대한 냉혹함을 동시에 지닌 컴퍼니맨 노아 베넷 (잭 콜먼 분) ,
하늘을 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야심 많은 정치가이자 피터의 형 네이선 페트렐리 (아드리안 파스다 분),
니키의 남편이자 벽을 통과할 수 있는 D.L.호킨스 (레오나르드 로버츠 분) ,
니키의 아들이자 전자제품 등의 기계와 소통하는 마이카 샌더스 (노아 그레이-캐비 분) ,
그리고 히로의 절친 안도 마사하시 (제임스 카이슨 리 분) 과 아이작의 연인이었던 시몬 드보 (타우니 사이프레스 분) 등이
한데 어울려 각자의 재능을 바탕으로 선과 악의 대결을 펼친다.

PG14LV 인 것에 비해 시즌1은 재미와 몰입력이 있다.
다만, 일본인들의 연기가 다소 어색해 보이거나 그들의 서양문명/인에 대한 동경을 너무 잘 반영하는 것 같아 짜증도 나고
용감해야 될 때에는 유약함을 보이거나 사무라이를 내세우며 물러나서 갑갑함이 든다. 
그렇지만, 로스트Lost에서 김윤진과 다니엘 대 김이 비슷한 모습을 보였던 것을 감안하면
서양인들에게 비친 한국인과 일본인의 모습일테니 알아서 이해해야지.

더불어, 21편을 보다 (사일러의 엄마가 자식을 특별하다고 하는 장면들) 느끼게 된 것은
부모의 기대가 자식의 꿈을 키울 수 있다는 긍정적 측면과 아울러
그것이 지나치면 과대망상과 야욕에도 사로잡힐 수 있다는 것을 사일러의 예를 보며 알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