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oving Still

미션 Mission 1986



{이 영화는 1750년 아르헨티나, 파라과이와 브라질 국경 지역에서 일어난 역사적 실화이다.}

  {교황님의 영토 끝에서 발생한 문제는 해결됐습니다, 인디언들은 다시 스페인과 포르투갈인의 노예가 될 겁니다. 시작이 맘에 안 드는군, 다시 고치게. 교황님, 1758년, 지금 저는 남미 대륙에서 편지를 쓰고 있습니다. 여긴 남미 라플라타의 앙상센이란 마을인데, 산 미겔 선교회에서 도보로 2주 걸립니다. 이 선교회는 개척민들로부터 인디언을 보호하려 했으나, 오히려 반감을 사고 있습니다. 이곳 인디언들은 음악적 재능이 풍부하여, 로마에서 연주되는 바이올린도 그들이 만든 것이 많습니다. 이곳으로 파견된 예수교 신부들은 인디언들에게 복음을 전하려 했지만, 오히려 순교를 당하게 됐습니다.}

  1750년, 스페인과 포루투갈은 남미 오지에 있는 그들의 영토 경계 문제로 합의를 보았으나 유럽 한구석의 탁자 위에서 그은 선이 얼마나 끔찍한 사태를 불러 일으킬 지 아무도 관심이 없었다. 그곳에서 선교활동을 하던 제수이트 신부들은 과라니족을 감화시켜 근대적인 마을로 발전시키고 교회를 세우는데 성공한다. 신부들 중에 악랄한 노예상이었던 멘도자(Mendoza: 로버트 드니로 분)는 가브리엘 신부(Gabriel: 제레미 아이언스 분)의 권유로 신부가 되어 헌신적으로 개화에 힘쓰고 있었다. 새로운 영토 분계선에 따라 과라니족의 마을은 무신론의 포루투갈 식민지로 편입되고, 불응하는 관라니족과 일부 신부들을 설득하려는 추기경이 파견되지만 결과는 포루투갈 군대와 맞서 싸운 과라니족의 전멸로 끝난다.

  {그리하여... 신부들은 죽고, 저만 살아 남았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죽은 건 나고, 산 자는 그들입니다. 그것은 언제나 그렇듯 죽은 자의 정신은 산 자의 기억 속에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출처-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0086



예수교의 밀림 속 부족에 대한 선교활동과 스페인과 포르투갈간의 영토 다툼 속에
자신들의 믿음을 실천하는 부족과 신부들을 보여준다.
결국, 종교도 국가와 정치적 이해 속에 오락가락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셈이다.

또한, 영화는 부족의 미래를 그 아이들의 시선을 빌어 말하려 하는 듯하다.
용병이자 노예상이었던 멘도사가 신부가 된 후, 그를 따르는 것도 바로 어린 아이였고,
부족의 교회와 마을을 없애려는 회담장에서도 아이들의 호기심 어린 시선이 있고
결말에서 망가지고 물에 빠진 바이올린을 갖고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아가는 것 또한 몇몇 어린이들이다.
그렇게 미래는 이어져 가는 것인데 과연 종교와 군대는 그들이 말하던 사랑을 실천한 것인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Nella Fantasia는 영화의 처음부터 끝까지 흐르는 물처럼 푸른 나무처럼 자리잡는다.
얼마전 모방송 프로그램에서 합창대회에 참가하면서 편곡하여 부른 곡이기도 한데
연주로만 나오는 것이 귓전에 맴돌아 좋지만 특정 장면에서 좀더 강하게 독창으로 나왔으면 하는 바람도 가져본다.
게다가 엔리오 모리코네의 음악과 런던 필하모닉의 연주도 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