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ing Still/찰리 채플린

76.Modern Times 모던 타임즈

©somachoking 마쵸킹® 2009. 7. 13. 00:09

Chaplins last 'silent' film, filled with sound effects, was made when everyone else was making talkies.
채플린의 음향효과로 가득한 마지막 무성영화는 모두가 유성영화를 만들고 있을때 제작되었다.
Charlie turns against modern society, the machine age, (The use of sound in films ?) and progress.
찰리는 현대사회나 기계만능(그런데 영화에 음향 사용?), 그런 발전과 같은 것에 반감을 가졌다.
Firstly we see him frantically trying to keep up with a production line, tightening bolts.
먼저 우리는 볼트로 꽉 조여진 생산라인을 따라잡으려고 굉장히 애쓰는 그를 본다.
He is selected for an experiment with an automatic feeding machine, but various mishaps leads his boss to believe he has gone mad, and Charlie is sent to a mental hospital...
그는 자동 음식공급기 실험에 선택되어지지만 여러가지 문제로 인해 사장으로 하여금 찰리가 미쳤다고 믿게 되고
찰리는 정신병원으로 보내진다.
When he gets out, he is mistaken for a communist while waving a red flag, sent to jail, foils a jailbreak, and is let out again. 정신병원을 나오고서 그는 빨간 깃발을 흔들다 공산주의자로 오인되어 감옥으로 보내지고, 탈옥을 좌절시킨 후 다시 바깥세상으로 보내진다.
We follow Charlie through many more escapades before the film is out...
영화가 끝나기까지 찰리의 더 많은 엉뚱함을 보게 된다.

Written by Colin Tinto {cst@imdb.com}

The idea of the film was apparently given to Chaplin by a young reporter, who told him about the production line system in Detroit, which was turning its workers into nervous wrecks.
영화에 대한 아이디어는 어떤 젊은 기자가 채플린에게 노동자들을 신경질적으로 망쳐버린 디트로이트의 생산라인에 대해 말해주면서 외관상 제공되었다.
In the film, Charlie becomes literally trapped in the machine and, in one of his finest patches of comic invention, is battered and buffeted by an automatic feeding machine introduced by his bosses to save time and money. 영화에서 채플린은 문자 그대로,그가 만들어낸 가장 훌륭한 우스꽝스런 장면의 하나인, 기계 속에 갇혀 버리고, 노동자들의 시간과 돈을 절약하기 위해 사장이 도입하려는 자동 음식공급기에 의해 수모를 당한다.
Cured after his breakdown, he is arrested when he picks up a red flag that has fallen off the back of a lorry, and runs down the street to return it, exactly the same time as a left-wing demonstration comes round the corner.
이리저리 채이고 난 후 정상회복 되었을 때, 그는 트럭 뒤에서 떨어진 빨간 깃발을 주워 들면서 체포되고 그것을 돌려주기 위해 길을 따라 가자 동시에 좌익 시위대가 길 모퉁이에서 나타난다.
 He meets 'The Gamine' (Paulette Goddard) in the back of the police van, who has also been arrested for stealing bread. 그는 빵을 훔친 혐의로 역시 체포된 여자 부랑자(폴 고다드)를 경찰 호송차 뒷칸에서 만난다.
From then on the theme is about two nondescripts trying to get along in modern times.
그 이후로 주제는 신식시대에 어울리려 노력하는 막연한 두사람에 대한 것이다.
"Smile, though your heart is breaking ..." Written by alfiehitchie  "웃어라, 비록 마음이 부서질지라도..."

http://www.imdb.com/title/tt0027977/plotsummary

 

Modern Times is a 1936 comedy film by Charlie Chaplin that has his famous Little Tramp character struggling to survive in the modern, industrialized world. 모던 타임즈는 채플린의 1936년작 코미디 영화로 신식화되고,산업화된 세상에서 살아남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그의 유명한 떠돌이 캐릭터가 나온다.
The film is a comment on the desperate employment and fiscal conditions many people faced during the Great Depression, conditions created, in Chaplin's view, by the efficiencies of modern industrialization.
영화는 대공황기에 많은 사람들이 직면했던 절박한 고용사정과 재정상황에 대해 언급하고, 그런 상황들은 신식 산업화의 효율성이라는 채플린의 관점에서 창조되었다.
The movie stars Chaplin, Paulette Goddard, Henry Bergman, Stanley Sandford and Chester Conklin.
채플린, 폴 고다드, 헨리 베르그만,스탠리 스탠드포드 그리고 체스터 콘클린이 출연한다.
It was written and directed by Chaplin, and marked the final screen appearance of the iconic Tramp character. 채플린이 각본과 감독을 맡았고, 떠돌이 캐릭터가 마지막으로 스크린에 등장한 영화로 기록되었다.
In 1989, this film was deemed "culturally significant" by the Library of Congress and selected for preservation in the United States National Film Registry.
1989년, 모던 타임즈는 국회도서관에 의해 "문화적으로 의미심장"한 영화로 간주되며 미국 영화기록소에 보존하기로 선택 되었다.

Plot

Modern Times portrays Charlie Chaplin as a factory worker, employed on an assembly line.
모던 타임즈는 찰리 채플린을 조립라인에 고용된 공장 노동자로 묘사한다.
After being subjected to such indignities as being force-fed by a 'modern' feeding machine and an accelerating assembly line where Chaplin screws nuts at an ever-increasing rate onto pieces of machinery, he suffers a mental breakdown. Chaplin is sent to a hospital.
'신식'음식공급기에 의해 강제로 음식이 먹여지고 기계의 부속품처럼 계속 속도를 높여 너트를 죄야 하는 가속되기만 하는 조립라인에서 채플린은 정신쇠약에 걸려 버리고 병원에 보내진다.
Following his recovery the now unemployed Chaplin is mistakenly arrested for leading a Communist demonstration when he was only attempting to return a flag that fell off a delivery truck.
회복에 후, 무직자인 채플린은 수송트럭에서 떨어진 깃발을 단지 되돌려 주려다 공산주의자 시위대의 주동자로
체포된다.
In jail, he accidentally eats smuggled cocaine - believing it to be salt.
감옥에서 그는 소금인 줄 알고 밀수입된 코카인을 뜻하지 않게 먹는다.
In his subsequent state he walks into a jailbreak and knocks out the convicts.
뒤이은 상황에서 그는 탈옥을 (얼떨결에) 시도하지만 (의외로) 탈옥기도범들을 때려 잡는다.
He is hailed a hero and is released.그는 영웅으로 대접받으며 (남은 형기를 보내고) 풀려난다.

Outside the jail, he discovers life is harsh, and attempts to get arrested after failing to get a decent job.
감옥 밖에서 그는, 인생이란 가혹한 것임을 깨닫고, 적당한 일거리를 찾는데 실패하고서는 다시 체포당하려 한다.
He soon runs into an orphan girl (a gamine) who is fleeing the police after stealing a loaf of bread.
그는 빵 한 덩어리를 훔친 후 경찰의 추격을 받는 고아 아가씨 가민을 만난다.
To save the girl he tells police that he is the thief and ought to be arrested.
아가씨를 구하기 위해 그는 경찰에게 자신이 도둑이며 체포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However, a witness reveals his deception and he is freed.
그렇지만, 목격자가 찰리가 거짓말함을 알려 그는 곧 석방된다.
In order to get arrested again, he eats an enormous amount of food in a cafe without paying.
다시 체포되기 위해 찰리는 카페에서 지불할 능력도 없이 많은 음식을 먹는다.
He meets up with the gamine in the paddy wagon which crashes, and they escape.
찰리는 산산조각난 볏단 수레에서 가민과 재회하고 둘은 도망친다.
Dreaming of a better life, he gets a job as a night watchman at a department store, sneaks the homeless gamine into the store, and even lets burglars have some food.
보다 나은 삶을 꿈꾸며 찰리는 백화점에서 야간 경비원 자리를 구하고 가민을 몰래 백화점으로 들여보낼 뿐만 아니라 강도들에게 음식도 먹게 한다.
Waking up the next morning in a pile of clothes, he is arrested once more.
다음날 아침 옷더미 속에서 일어난 찰리는 다시 체포된다.

Ten days later, the gamine takes him to a new home - a run-down shack which she admits "isn't Buckingham Palace" but will do.
열흘 후, 가민은 다 쓰러져 가는 판잣집이지만 버킹엄궁은 아니어도 그렇게 될 수 있을거라 받아들이는 새 집으로 찰리를 데려간다.
The next morning, the worker reads about a new factory and lands a job there.
그 다음날 아침, 찰리는 일거리가 있을 새 공장과 새 땅에 대한 기사를 읽게 된다.
He helps extricate his boss out of machinery, before the other workers' demonstrations.
그는 노동자들의 시위가 있기 전에 기계더미 속에서 사장을 꺼내는 것을 돕는다.
Accidentally paddling a brick into a policeman, he is arrested again.
(파업이 시작된 공장에서 나와) 어쩌다 벽돌을 경찰에게 던졌다가 찰리는 다시 체포된다.
Two weeks later, he is released and learns that the gamine is a cafe dancer, and she tries to get him a job as a singer.
2주 후, 찰리는 석방되어 가민이 카페에서 무용수로 있음을 알게 되고 가민은 찰리에게 가수 자리를 알아봐준다.
By night, he becomes an efficient waiter though he finds it difficult to tell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 and "out" doors to the kitchen, or to successfully deliver a roast duck to table.
그날 밤에 찰리는 비록 부엌의 '입구'와 '출구'의 차이도 제대로 구분 못하고 (춤추는 사람들로 인해) 구운 오리를 테이블로 잘 갖다 주지도 못하지만 능숙한 웨이터가 된다.
During his floor show, he loses a cuff that bears the lyrics of his song, but he rescues his act by improvising the words in gibberish while pantomiming. His act proves a hit.
가게 내 공연에서 그는 그가 부르는 노래의 가사를 생각해 낼 수 있게 해 주던 (써 놓았던) 셔츠 소매를 잃어버리지만 판토마임을 하면서 아무소리나 지어내며 연기를 이끌어 내어 그의 공연은 히트를 친다.
When police arrive to arrest the gamine for her earlier escape, they escape again.
경찰이 이전의 도주혐의로 가민을 체포하기 위해 왔지만 그들은 다시 도망을 친다.
Finally, we see them walking down a road at dawn, towards an uncertain but hopeful future.
결국, 불확실하지만 희망에 가득찬 미래를 향해 동틀 무렵 길을 따라 내려가는 그들을 보게 된다.

Cast

Production

Chaplin began preparing the film in 1934 as his first "talkie", and went as far as writing a dialogue script and experimenting with some sound scenes.
찰리는 1934년 그의 첫 유성영화로 모던 타임즈를 준비하기 시작하고 대사 작성부터 소리가 나오는 몇개의 장면까지 실험했다.
However, he soon abandoned these attempts and reverted to a silent format with synchronized sound effects. 그렇지만 그는 곧 이런 시도를 포기하고 동시 사운드 효과가 있는 무성 형식으로 전환했다.
The dialogue experiments confirmed his long-standing conviction that the universal appeal of the Tramp would be lost if the character ever spoke on screen. Indeed, this film marks the Tramp's last screen appearance, and is arguably the final film of the silent era. 
만약 떠돌이가 스크린에서 직접 대사를 하게 된다면 오랫동안 사랑받지는 못할 것이라 여겼기에 대사에 대한 실험적 시도는 그에게 오랜기간 동안 그런 확신을 심어주었고, 모던 타임즈는 떠돌이 캐릭터의 마지막 영화 등장이며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무성영화 시대의 마지막 영화이다.
Most of the film was shot at "silent speed", 18 frames per second, which when projected at "sound speed", 24 frames per second, makes the slapstick action appear even more frenetic. 
영화의 대부분은 슬랩스틱 연기를 더욱 열정적으로 보이게 하는 "음향 속도"인 초당 24프레임으로 계획되었으나  초당 18프레임이라는 "무성 속도"로 찍었다.
Available prints of the film now correct this. 영화의 원본 필름은 이 문제를 바로 잡았다.

Although not a "talkie," Modern Times does include a synchronized sound track featuring foley effects, music, singers, and voices coming from radios, loudspeakers, and a Telescreen in the washroom.
비록 "유성영화"는 아니지만, 모던 타임즈는 foley effects가 가미된 동시 사운드 트랙,음악,가수, 라디오에서 나오는 소리, 확성기 그리고, 화장실에서의 (CCTV나 화상대화와 같은) 텔레스크린을 포괄하고 있다.

foley effects - 영화 촬영 후 포스트 프러덕션 과정에서 입혀지는 사운드 효과
                    (http://facweb.cs.depaul.edu/sgrais/foley_effects.htm)

Towards the end of the film the Little Tramp's voice is heard for the first time as he ad-libs pseudo-French and Italian gibberish to the tune of Léo Daniderff's popular song, Je cherche après Titine.
영화의 결말을 향해 갈 때, Léo Daniderff의 인기곡 Je cherche après Titine에 맞춘 불어같기도 하고 이래이어 같기도 한 알 수 없는 말로 애드립하며 처음으로 떠돌이의 목소리가 나온다.

The reference to drugs seen in the prison sequence is somewhat daring for the time (since the production code, established in 1930, forbade the depiction of illegal drug use in films); Chaplin had made drug references before in one of his most famous short films Easy Street, released in 1917.
감옥 장면에서 보이는 약물사용은 당시에는 다소 대담무쌍한 것이었는데 (왜냐하면 1930년에 제정된 영화 생산지침에는 영화상의 불법적 약물사용 묘사에 대해 금지하고 있다) ; 채플린은 1917년 개봉된 그의 가장 유명한 단편영화 중 하나인 Easy Street에서 약물사용 지침을 만들었다.

Music

The music score was composed by Chaplin himself, and arranged with the assistance of Alfred Newman.
음악은 채츨린 자신이 직접 작곡했고 Alfred Newman의 도움으로 편곡되었다.
The romance theme was later given lyrics, and became the pop standard "Smile", first recorded by Nat King Cole and later covered by such artists as Michael Jackson, Liberace, Judy Garland, and Madeleine Peyroux. 로망스 테마는 뒷날 가사화 되어 Nat King Cole에 의해 처음 녹음된 팝 스탠다드 "Smile"로 불려졌으며훗날 Michael Jackson, Liberace, Judy Garland,그리고 Madeleine Peyroux와 같은 가수들에 의해 연주되었다.

Reception

Modern Times is often hailed as one of Chaplin's greatest achievements, and it remains one of his more popular films.
모던 타임즈는 채플린의 가장 위대한 업적의 하나로 칭송되며 그의 가장 대중적인 영화로 남아있다.
The iconic depiction of Chaplin working frantically to keep up with an assembly line inspired later comedy routines including Disney's Der Fuehrer's Face, an episode of I Love Lucy titled "Job Switching", and most recently, an episode of Drake & Josh.
조립라인을 따라잡기 위해 미친듯 일하는 채플린의 인물묘사는 후에 디즈니의 Der Fuehrer's Face나 "Job Switching"이란 제목의 I Love Lucy 이야기나 최근에는 Drake & Josh 이야기에서 코미디의 전형으로 영향을 주었다.

This was Chaplin's first overtly political-themed film, and its unflattering portrayal of industrial society generated controversy in some quarters upon its initial release.
이것은 채플린의 첫 공개적 정치성 영화이자 산업사회에 대한 아부없는 초상으로 첫 개봉 후 몇 분기 동안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in this film, all the sounds only come from and through machines such as a television or display (Boss yells at him through this device), a phonograph, radio, and machines (sounds of machinery). 이 영화에서 모든 사운드는 TV나 (사장이 채플린에게 고함지르는) 디스플레이,축음기,라디오 그리고 기계들(기계들의 소리)과 같은 기계에서 나오거나 기계를 통해 나온다는 것은 중요하게 주목해야 할 점이다.
This has the effect of dehumanizing the main character, a factory worker.
이 영화는 메인 캐릭터인 공장 노동자의 비인간화라는 영향을 담고 있다.

http://enc.daum.net/dic100/contents.do?query1=20XXX74962


"Modern Times" A story of Industry, of indivisual enterprise - humanity crusading in the pursuit of happiness.
"모던 타임즈"는 기계화된 산업계나 사적私的 기업에 대한 이야기로 행복 추구 속에서의 인간성 회복에 대해 보여준다.